당신은 이전부터 행복할 수 있었다. 단지, 심리가 그것을 가로막고 있었을 뿐이다.
“당신은 지금 얼마나 행복한가요?”
이 단순한 질문 앞에서 우리는 쉽게 답을 내놓지 못한다. 행복이란 어딘가 멀리 있는 목표처럼 느껴지고, 지금, 이 순간 내가 행복하다고 말하기엔 부족한 것들이 자꾸만 눈에 띄기 때문이다.
2025년 3월 20일,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세계 행복 보고서』를 발표했다. 핀란드(7.736점)는 8년 연속 1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6.038점)은 58위로 한걸음 물러났다. 이 순위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진짜 메시지는 행복이 결코 ‘순위’가 아니라 '태도'이며 '과정'이라는 점이다. 보고서는 묻는다.
“당신은 지금의 삶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
이 책은 그 질문 앞에 선 우리 모두의 마음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함께 걷기 위해 쓰였다. 많은 이들이 행복을 '조건'으로 생각한다. 더 나은 직장, 더 넓은 집, 더 나은 관계를 얻어야 행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행복은 결코 조건부로 주어지는 감정이 아니다.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태도’이며, 발견 가능한 ‘감정의 가능성’이다. 그래서 이 책을 펼치기 전, 독자인 당신에게 작은 실험을 제안한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의 행복 점수를 0점에서 10점까지 적어 보세요.”
이 실험을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행복은 남과의 비교가 아니라, 어제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어가는 자기 인식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장을 덮을 때 다시 한번 같은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될 것이다. 그때 당신은 자신의 감정 곡선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긍정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담았다. 감사일기, 강점 탐색, 마음 챙길 훈련, 의미 있는 관계 맺기, 회복탄력성 키우기 등 각각의 장마다 일상 속에서 실행 가능한 심리적 도구들을 제공한다. 이 도구들을 통해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행복을 발견하고, 삶의 방향을 스스로 주도할 힘을 얻을 수 있다.
행복은 먼 미래의 목표도, 특별한 사건도 아니다. 행복은 바로 '지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이 책을 통해 당신이 행복을 선택하는 힘을 회복하기를 바란다. 비교와 완벽주의의 굴레를 벗어나, 오직 당신만의 행복 지도를 만들어나갈 시간이다.
이제 시작해보자. 당신 안에 이미 존재하는 행복을 다시 발견하는 여정이 바로 이곳에서부터 시작된다.
저자는 40년간 농협에서 금융 전문가이자 조직 관리자 역할을 수행 해오고 지점장과 상무를 역임하며 정년퇴직했다. 금융 업무 전반을 담당하고 교육지원부서에서는 개인과 조직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 주력했다. 사람 중심의 건강한 조직문화를 정착시키는 일은 늘 나에게 중요한 목표였다.
재직 중에도 행복, 관계, 감정, 성장과 같은 주제에 지속해서 관심을 기울였으며, 긍정심리학에 기반하여 개인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삶 속에서 실천하는 방법에 관해 깊이 탐구해왔다.
정년퇴직 후에는 플로리시(번영) 심리상담센터를 설립하여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강의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강점을 활용하여 개인과 조직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공로로 심리상담 봉사 부문 ‘2024 한국을 빛낸 무궁화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학문적 관심을 확장하여 교육 상담학을 전공하고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과정은 개인적인 성장을 넘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사람들의 내면을 회복시키고 성장시키는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나의 신념을 구체화하는 과정이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명강사 최고위 과정에서 꾸준하게 공부하고 있다.
강의와 글을 통해 단순히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향을 재구성하고 감정의 힘을 회복하도록 돕는 실천적이고 따뜻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행복은 어느 날 우연히 찾아오는 감정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우리가 선택하고 만들어가는 삶의 태도입니다.”
이 책은 지난 수십 년간 현장에서 사람들과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며 얻은 통찰의 결정체이며, 독자 여러분 각자가 내면의 힘과 감정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회복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길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 네이버 인물 검색: 김흥식
- 이메일: winwinkhs@naver.com